-
007. 트랜잭션IT 공부방 [기본지식 정리]/데이터베이스 (DB) 2025. 5. 23. 11:41
1. 트랜잭션이란?
삽입, 수정, 삭제 시 실행되는 하나의 단위
하나의 작업은 완전히 실행이 되던가, 아니면 처리되지 않고 롤백되어야 함.
즉, 한번에 수행 완료되어야 할 논리적인 작업 단위이다.
네트워크에서는 초당 Transaction 수를 TPS라고 말한다.
2. 트랜잭션의 특성
1) 원자성 : 하나의 트랙잭션의 연산들이 모두 실행되던지, 아예 실행 안되던지
2) 일관성 : 트랜잭션의 결과는 데이터베이스의 정합성을 깨지 않는다.
3) 고립성 : 독립적으로 수행, 타 트랜잭션의 간섭이 없어야 함.
4) 영속성 : 트랜잭션의 결과는 데이터베이스에 영구적으로 저장/유지됨.
3. 트랜잭션의 격리수준
멀티스레딩의 개념과도 유사하며, 트랜잭션을 동시에 처리해야 할 때,
쓰기작업 중에는 접근할 수 없게 LOCK을 걸어버리면, 조회성능이 떨어지는데 이를 개선하기 위해
어느정도의 읽기 작업을 허용할 지를 정할 수 있다. 이를 격리수준이라고 한다.
4. 트랜잭션의 격리수준이 낮을 때의 문제점
1) Dirty Read
2) Non-Repeatable-Read
3) Phantom-Read
'IT 공부방 [기본지식 정리] > 데이터베이스 (DB)' 카테고리의 다른 글
101. [MySQL] DDL - 데이터 정의 언어 (2) 2025.05.23 008. SQL (0) 2025.05.23 006. 반정규화 (0) 2025.05.23 005. 정규화 (0) 2025.05.23 004. 관계와 식별자 (0) 2025.05.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