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1. 네트워크란? (요약 정리)IT 공부방 [기본지식 정리]/네트워크 2025. 3. 10. 21:01
1. 이더넷 / 인터넷 차이
1) 이더넷
- 근거리 통신망(LAN) 구간으로 사무실, 기업건물, 학교 내부 통신망에 사용되는 네트워크를 이더넷이라고 한다.
근거리 통신망을 위한 IP로 주로 사설IP를 할당하여 사용한다.
[사설 IP 범위]
- 10.0.0.0 – 10.255.255.255/8
- 172.16.0.0 – 172.31.255.255/12
- 192.168.0.0 – 192.168.255.255/16
2) 인터넷 (이더넷 사이를 연결해준 범용 네트워크)
- 위의 이더넷을 ISP(Internet Server Provider)가 자사 솔루션을 통하여 연결해준 대규모 네트워크를 말한다.
ISP란 KT, SKT, LG 통신사라고 생각하면 편하겠다.
[공인 IP 범위]
- 0.0.0.0~127.255.255.255
- 128.0.0.0~191.255.255.255
- 192.0.0.0~233.255.255.255
- 224.0.0.0~239.255.255.255
- 240.0.0.0~255.255.255.255
한 가지 예시로, 집에서 사용하는 인터넷의 경우 대개는 공유기를 사용할 것이다.
WAN 포트에는 인터넷 외부 회선이 물려있고, 내부에는 유선 LAN 포트/무선 WI-FI가 구성되어 있을 것이다.
공유기에는 공인IP가 할당됨과 동시에 내부에는 사설IP가 할당되어 있는 것이다.
(모를 경우, 설치기사님이 알아서 하셨을 것이다.)
2. MAC 주소 / IP주소 / Netmask / Gateway란?
인터넷 통신을 할 때 가장 많이 들어본 말일 것이다.
해당 용어에 대해서 알기 쉽게 설명할 것이다.
1) MAC 주소 : 같은 LAN 구간에서 통신해야 할 때, 참조하는 주소체계이다.
같은 LAN에서는 IP보다 먼저 MAC 주소로 통신을 한다. (ARP/RARP 프로토콜로 통신)
2) IP 주소 : 서로 다른 LAN 구간에서 통신해야 할 때, 참조하는 주소체계이다.
3) Netmask : 이 부분은 네트워크 도메인을 나누고, 나눈 각 도메인에서 호스트IP의 범위를 지정하기 위한 것이다.
브로드캐스트 도메인을 쪼갤 때 사용된다.
(서브넷이라는 용어가 있는데 이는 나중에 함께 더 자세하게 다뤄보자)
4) Gateway : 다른 LAN으로 통신해야 할 때, 반드시 거쳐야 하는 관문 IP이다.
예를 들어, 공유기를 타고 인터넷으로 나가야 할 때, 공유기의 사설 IP가 바로 게이트웨이IP가 된다.
게이트웨이는 반드시, 나와 같은 LAN 도메인에서의 IP가 되어야 한다.
<참고 그림>
인터넷을 통하여 어딘가에 있는 친구 집과 통신하거나, 또는 어딘가의 구글 서버와 통신한다.
3. TCP, UDP 란?
TCP + IP의 합성어로 주로, 서비스단에서 많이 사용한다.
TCP는 연결 지향의 프로토콜로 0~65535 사이의 Port 번호를 사용한다.
UDP는 비연결의 단방향 프로토콜이다.
TCP는 주로 채팅,결제,웹 서핑(HTTPS), 터미널세션[SSH]와 같이 세션을 맺고 신뢰성있는 통신을 할 때 많이 사용된다.
UDP는 라이브 브로드캐스트와 같이 일방적으로 뿌리는 서비스에 많이 이용된다.
대표적으로는 DNS:UDP(53)가 있다.
4. TCP/IP 란?
TCP/IP는 TCP + IP의 합성어로 연결기반의 서비스 통신에서 주로 쓰인다.
우선 "223.25.53.221:8080"과 같은 형태로 사용되며, 이것은 서비스 하나를 나타낸다.
위의 IP:Port 형태가 실질적으로 사용되며, 예시로 "http://www.ctostmaster.com" 이라는 URL로 접근했을 때,
외부의 DNS 서버가 "223.25.53.221:8080"임을 확인하여 내 피씨로 던져주고 난 실질적으로 "IP:Port"로 접근하는 것이다.
'IT 공부방 [기본지식 정리] > 네트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03. 서비스 인프라 구성 방식 (0) 2025.03.10 02. TCP 소켓 통신 과정 (0) 2025.03.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