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001. Gradle 기본 구문
    개발환경 (IDE) & 환경설정/Build Tools - Gradle 2025. 4. 14. 14:58

     

    1. Gradle 기본버전 확인

        > gradle -v, gradle wrapper -v (wrapper 버전과 다를 경우, 버전을 동일하게 수동으로 업그레이드 시킬 것.)

     

    2. 일반적인 빌드

        > ./gradlew build

    • 프로젝트 빌드 (컴파일 + 테스트 + JAR 생성)
    • 기본적으로 src/main src/test의 코드 컴파일 & 테스트

    3. 특정 패키지 실행

       > ./gradlew test

       > ./gradlew clean test, ./gradlew test --tests [특정 메서드/특정 클래스]

    • src/test/java 내 모든 테스트 클래스 실행
    • 테스트 결과는 build/reports/tests/test/index.html에서 확인 가능

    4. 특정 클래스/메서드만 실행

         > ./gradlew test --tests "com.jaybee.webdemo.repository.UserRepositoryReadTest"

     

    5. JAR 파일로 Export

        > ./gradlew bootJar

    • Spring Boot 애플리케이션 실행 가능한 fat JAR 생성 (jar 파일 빌드 명령)
    • 결과는 build/libs/ 폴더에 .jar로 생김
    ./gradlew build 전체 빌드 + 테스트 실행 + JAR 생성
    ./gradlew bootJar 실행 가능한 JAR만 생성 (테스트는 실행 안 함)
    ./gradlew clean bootJar 기존 빌드 삭제 후 JAR만 생성
    ./gradlew clean build 전체 초기화 후 다시 빌드 (테스트 포함)

     

    6. 의존성 갱신 & 빌드 초기화 후 리빌드 (배포 전에 한번 하기를 권장)

       > ./gradlew clean build --refresh-dependencies

     

    7. 의존성 확인 명령 (의존성 충돌 시, 활용)

      > ./gradlew dependencies --configuration testRuntimeClasspath

      > ./gradlew dependencies

     

    8.  

    '개발환경 (IDE) & 환경설정 > Build Tools - Gradle' 카테고리의 다른 글

    002. Gradle 기본 에러  (0) 2025.04.14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