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Linux] 하드디스크 / 마운트 명령
    IT 공부방 [기본지식 정리]/리눅스 서버 2019. 5. 8. 00:18

    1. 하드디스크의 규격

       1) IDE 규격 

          - 읽기/쓰기 속도 139MB 

          - PATA(Paralled Advanced Technology Attachement) 라고도 부름

          - 초기에 연구된 규격으로 현재는 잘 사용하지 않거나 E-IDE라는 규격으로 업뎃해서 사용함

        2) SATA 규격 

           - 각 버전별로 SATA1(150MB), SATA2(300MB), SATA3(600MB) 읽기/쓰기 속도를 가짐

           - SATA는 우리가 현재 가정용으로 많이 쓰는 방식이다. 

     

        3) SCSI 규격

           - 서버나 워크스테이션 등에 쓰이는 고속 인터페이스다.

           - 최대 320MB/s의 읽기/쓰기 속도를 가짐

           - 최근 이를 대체하는 SAS 인터페이스가 등장하면서 쓰는 곳이 조금씩 줄고 있다.
           - 무엇보다 안정성이 높은 것이 최대의 장점이지만 단점으로는 가격이 매우 비싸다.

     

        4) SAS 규격 

           -  SATA 케이블을 SAS 장치에 꽂아 쓸 수는 있지만

              반대로 SAS 케이블을 SATA 하드디스크 장치에 연결하지는 못한다.

              

       5) SSD 

         - 이것은 말하지 않아도 알거라 생각한다. (하드디스크보다 엄청 빠르다는 장점)

         - 자기성을 이용한 기계적인 방식이 아니라 플래쉬 메모리가 여러개 결합되어 전기적인 방식으로 동작한다. 

         - SSD M.2 nvme / SSD SATA ... 규격을 가지고 있다.

     

     

     

     

    2. 리눅스 디스크 구조 및 마운트 명령

        1) 리눅스 디스크 방식

           - IDE : /dev/hd[x = a, b, c, d]로 하드디스크를 구분 -> /dev/hdx[n = 1, 2, 3, 4....]로 파티션을 구분

                    파티션은 동일하게 주 파티션 / 논리 파티션 합쳐서 12개 까지 생성가능하다. 

                    cpu가 하드 입출력을 직접 관리함 (CPU 부담, 가격 쌈)

                    부팅후엔 장착 불가능

     

           - SCSI : /dev/sd[x = a, b, c, d]로 하드디스크를 표현 -> /dev/sdx[n = 1, 2, 3, 4....]로 파티션을 표현

                     파티션은 동일하게 주 파티션 / 논리 파티션 합쳐서 12개 까지 생성가능하다. 

                     내부의 SCSI 칩이 대신 관리해줌 (CPU 쾌적, 가격 비쌈) 

                     부팅후에도 장착 가능

     

       

         2) 리눅스의 파일시스템 

            - ufs : 유닉스 파일 시스템

            - ext2 : 속도 증가

            - ext3 : 속도 증가, 저널링 추가

            - ext4 : 속도 배로 증가, 저널링 기능 추가

            - xfs : 대용량 파일 시스템에 주로 쓰임(16TB 이하 비효율)

     

        

        3) 리눅스 마운트 명령 

            - 리눅스 마운트 과정 : 1) 하드디스크 연결  ->  2) 파티션  ->  3) 포맷  ->  4) 마운트

            - 파티션 구성 작업 

              (1) 새로 산 하드디스크(SCSI 규격)를 연결한다. (여기서는 vmware로 가상 하드를 할당한다.)

              

    **다 되었으면 재부팅해야 인식된다.

             (2) fdisk -l  명령어로 추가된 디스크를 확인한다. 

             

    10G가 추가된 것을 알 수 있다.

             (3) 이제 파티셔닝 작업을 해야한다. (fdisk 명령 이용 : 순서대로 진행)

          

    fdisk  <disk장치명>

             

    m(help menu)를 보자 / 그 중 우리가 사용할 것은 n!
    n -> p -> 1 -> Enter -> +2G (순서대로)

               설명하자면, n(추가) -> p(주 영역) -> 1(파티션 번호) -> Enter키(첫 섹터) -> +2G(할당할 용량)

               이 작업을 똑같이 3번 반복하면 된다. (여기서 확장 영역은 주지 않겠다.) 

               n -> p -> 2 -> Enter키 -> +1G

               n -> p -> 3 -> Enter키 -> +3G

               n -> p -> 4 -> Enter키 -> +4G  

     

               

    주 영역 4개가 생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partition 번호 1~4까지)    다 되었으면 w (엔터)

                 여기서 참고 사항은

                          주 영역 : 4개까지 생성가능 

                          확장 영역 : 1개까지 생성가능 

                          주 영역 + 확장 영역 : 합쳐서 4개 까지 생성가능 (그래서 확장영역 구성 시 [주3 + 확1] <- 이렇게 됨) 

                          확장 영역에는 논리 파티션 8개 까지 생성가능함

                               => 그래서 주 영역 + 확장 영역 + 논리 영역 합치면 총 12개가 됨

                  

     

                (4) 포맷 (파일 시스템을 쓰는 과정 : mkfs 명령어 이용)

    mkfs.[파일시스템] [장치 파티션명]  1~4번 파티션 다 해준다.

     

                (5) 마운트 포인트를 만들고 마운트하기

                마운트 포인트 : 만들어진 파티션을 디렉토리에 연결시켜야 하는데 디렉토리를 마운트 포인트라고 한다. 

                

    /home/ctosmaster/SubHard/ 디렉토리 밑에 part1, part2, part3, part4 디렉토리를 만들어줌

                

    mount 명령어로 파티션장치를 디렉토리에 마운트시킨다.
    lost+found가 생성이 되면 정상적으로 마운트 되었다.

                                   PS) lost+found는 백업용 디렉토리로 파티션의 백업을 담당하는 디렉토리다.

                                        df -Th를 통해서 확인도 가능하다. 

     

                                   여기까지가 간단히 마운트를 하는 과정이다. 

                                   주의할 점은 현재 방식으로 하면 재부팅시 마운트가 자동으로 해제되어 있다. 

                                   부팅시 자동으로 마운트하게 하는 방법은 자동 마운트 포스팅에서 설명하겠다.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