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 공부방 [기본지식 정리]/리눅스 서버
-
[라즈베리파이 3] apache2 웹 설치 및 설정IT 공부방 [기본지식 정리]/리눅스 서버 2019. 5. 11. 18:47
1. 아파치 웹 서버 엔진 설치 1) apt install apache2 -y 2) apt install mysql-server -y 3) apt install php php-mysql -y 4) 설치 다 되면 apt list apache2 mysql-server php php-mysql 확인하자 (단 반드시 이 순서대로) 2. 아파치 웹 서버 설정 1) Document Root 디렉토리 설정법 vi /etc/apache2/apache2.conf vi /etc/apache2/sites-enabled/000-default.conf 2) 메인 Index 페이지 설정법 vi /etc/apache2/mods-enabled/dir.conf 3) 루트 페이지를 변경할 때 주의점 **chmod -R 755 AutoW..
-
[Linux] 하드디스크 / 마운트 명령IT 공부방 [기본지식 정리]/리눅스 서버 2019. 5. 8. 00:18
1. 하드디스크의 규격 1) IDE 규격 - 읽기/쓰기 속도 139MB - PATA(Paralled Advanced Technology Attachement) 라고도 부름 - 초기에 연구된 규격으로 현재는 잘 사용하지 않거나 E-IDE라는 규격으로 업뎃해서 사용함 2) SATA 규격 - 각 버전별로 SATA1(150MB), SATA2(300MB), SATA3(600MB) 읽기/쓰기 속도를 가짐 - SATA는 우리가 현재 가정용으로 많이 쓰는 방식이다. 3) SCSI 규격 - 서버나 워크스테이션 등에 쓰이는 고속 인터페이스다. - 최대 320MB/s의 읽기/쓰기 속도를 가짐 - 최근 이를 대체하는 SAS 인터페이스가 등장하면서 쓰는 곳이 조금씩 줄고 있다. - 무엇보다 안정성이 높은 것이 최대의 장점이지만..
-
[CentOS 7] 계정 관련 명령/문서IT 공부방 [기본지식 정리]/리눅스 서버 2019. 5. 7. 21:31
1. 계정 관련 주요문서 1) /etc/login.defs 2) /etc/passwd *계정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는 곳이다. 3) /etc/shadow *계정에 대한 password 정보파일 4) /etc/Group *계정에 대한 Group 정보파일 -> [계정명] : x : 500(gid) : 보조그룹 5) /etc/spool/mail (계정 메일함) *각 계정별로 메일들을 담아놓는 디렉토리이다. 6) /etc/default/useradd (기본그룹 설정파일) *계정을 생성할 때 적용되는 세팅 값이 담긴 파일이다. 2. 계정 생성/변경/제거 명령 1) useradd -u 510 test2 => uid를 510으로 지정하고 test2 계정 생성 2) useradd -g test test2 => 주그룹을 ..
-
[Linux] 권한과 특수권한IT 공부방 [기본지식 정리]/리눅스 서버 2019. 5. 6. 16:33
1. 일반 권한 1) 권한 표현 방법 ls -al 명령으로 보면 알겠지만 각 파일이나 디렉토리마다 drwxr-xr-x 와 같은 형식을 가지는 문구가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이 부분을 상세히 보자면 d rwx r-x r-x d : 파일 타입 부분 rwx : 소유권자에 대한 권한 부분 r-x : 소유그룹에 대한 권한부분 r-x : 나머지 접근하는 모든 사용자에 대한 권한 부분 이렇게 나눠 볼 수 있으며 파일 타입 부분 : d(디렉토리), -(일반 실행 파일), b(블럭형 장치 파일), c(문자형 장치파일) l(심볼릭 링크 파일), s(통신 소켓 파일), p(파이프 파일) 소유권자 부분 : -(권한 없음), r(읽기 권한), w(쓰기 권한), x(실행 권한) [** 단 현재 접근한 계정이 접근한 파일의 소유..
-
SELINUX란?IT 공부방 [기본지식 정리]/리눅스 서버 2019. 5. 6. 14:10
* 리눅스는 오픈소스이기 때문에 문제도 많고 기본적으로 보안에 취약하다. 편리성이 증가 -> 보안성 감소 보안성이 증가 -> 편리성 감소 (Trade off 관계) 그래서 도입된 리눅스 자체 보안 기능이 SELINUX이다. *Selinux는 3가지 상태를 가진다. 1) enforcing (활성화) 2) permissive (부분적 허용) 3) disabled (비활성화) 보통은 이 기능을 비활성화하고 또 다른 방화벽 기능인 IPTABLES를 사용한다. *Selinux 비활성화 방법 1) vi /etc/sysconfig/selinux 설정이 끝났으면 재부팅하자 reboot~ 그러면 안되던 서비스가 잘 될 것이다.
-
[CentOS 7] 리눅스의 로그 종류IT 공부방 [기본지식 정리]/리눅스 서버 2019. 5. 6. 01:03
1) 시스템에 관한 로그 /var/log/boot.log : 부팅시에 처리되었던 요약된 시스템 로그들이 담겨있다. /var/log/secure : telnet이나 ssh와 같은 원격 로그인에 관련된 로그기록 /var/log/dmesg : 부팅시에 처리되었던 모든 기록이 다 담겨진다. /var/log/cron : 예약한 작업이 정상적으로 실행되는지에 대한 log 기록 /var/log/anaconda.log : 패키지 / 어플리케이션 설치시 log파일 /var/log/maillog : 메일 서버의 로그 기록 /var/log/btmp : 로그인 시도 5번 실패한데 대한 로그 기록 (lastb 명령어 이용가능) /var/log/wtmp : 시스템 로그인, 로그아웃, 재부팅에 대한 전체적인 로그 기록 (last ..